제사 지방을 대량구매 또는
판매를 하실 분들은 미리
전화를 주십시요
010-4099-9698
  업 / 무 / 시 / 간
평   일 오전 10시 ~ 오후 7시
토요일 오전 10시 ~ 오후 2시
휴대폰 010-4099-9698
메   일 free707@hanmail.net
* 전화는 업무시간에 주십시요 ^-^
  계 / 좌 / 번 / 호
예 금 주 김승종
은      행 우체국
계좌번호 601237-02-099561
* 입금전에 미리 전화주십시요 ^-^
동양에서는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제사를 지냅니다
서양에서는 고인이 탄생한 날에 제사를 지냅니다
아래는 한국에서 거행하는 제사의 종류들 입니다
기일제사를 약칭하여 기제사 또는 기제라 합니다.
기제사는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이며 오늘날 제사라
하면 통상 기제사를 의미합니다.
기제의 봉사대상은 과거에는 『주자가례』에 따라 4대조 까지 였으나 요즘에는
가정의례 준칙에 의거 2대조까지만 거행합니다
또한 후손이 없는 3촌이내에 한하여 거행하기도 합니다.
제사시간은 고인이 돌아가신 날이 시작되는 자정부터 새벽1시 사이에
모두가 잠든 조용한 시간에 거행합니다.
그러나 요즘은 시간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돌아가신 날 해가 진 뒤 어두워지면
적당한 시간에 지내기도 합니다.
제사는 제주의 집에서 지내는데 고인의 장자(長子)나 장손(長孫)이 제주로서
제사를 주재합니다.
장자나 장손이 없을 때는 차자(次子)나 차손(次孫)이 주관합니다.
음력으로 매월 초하룻날과 보름날, 그리고 명절이나 조상의 생신날에 간략하게
지내는 제사입니다.
요즈음에는 정월 초하루의 연시제(年始祭)와 추석절의 절사(節祀)와 한식이
이에 해당됩니다.

♠ 연시제(年始祭)
정월 초하룻날 아침에 드리는 제사로서 봉사대상은 원래 4대조까지였으나
현대에서는 2대조까지만 제사를 거행합니다.
차례 드리는 방법은 봉사 대상이 되는 분들을 한꺼번에 모십니다.
지방은 합사(合祀)하는 경우 한 종이에 나란히 적습니다.
1월1일에 제사 또는 축제를 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동일합니다

♠ 추석절제사(秋夕節祭祀)
음력 8월 보름에 지내는 제사로 차례를 지내는 봉사 대상은 모든 직계조상으로
합니다
제수는새로 익은 햇곡식과 햇과일로 한다.
추수 시기에 제사 또는 축제를 하는 것은 세계적으로 동일합니다

♠ 한식성묘(寒食省墓)
한식은 청명(淸明) 다음날로 동짓날로부터 계산해서 105일째 되는 날입니다.
이 날은 예로부터 조상께 제사를 지내고 성묘를 가는 것이 관습이었다.
요즈음 성묘는 조상의 산소가 손상된 것을 보살피고 산소 및 주변을 벌초하여
손질 한 후에 상석 또는 상석이 없는 경우 흰 종이를 깔고 간단히 준비한 제수를
차립니다
그리고 제주가 분향하고 잔을 올리면 참석자 모두 재배하고 마칩니다
고례에 의하면 제주를 비롯한 여러 참사자들이 검은 갓과 흰 옷을 갖추고
일찍 산소에 찾아가 재배하고, 산소를 둘러보면서 세 번 이상 잘 살피며 풀이
있으면 벌초하고 산소 앞을 깨끗이 청소합니다.
산소의 왼쪽에 자리를 마련하고 토지신에게 먼저 제사를 지낸 뒤, 산소 앞에
정한 자리를 깔고 제찬을 진설합니다.
그리고 참신, 강신, 초헌, 아헌, 종헌, 사신의 순으로 제사를 진행합니다.
철을 따라 1년에 4번 드리는 제사로서, 매 중월(2월,5월,8월,11월) 상순(上旬)의
정일(丁日)이나 해일(亥日)을 가리어 거행합니다.
보통 날짜는 전달 하순에 정한다. 제사 전 3일 동안 재계(齋戒)를 합니다.

제사 하루 전날에는 정침을 깨끗이 청소하고 신주 모실 자리를 마련합니다.
방 한가운데에 향탁(香卓)을 놓고 그 위에 향로 향합 촛대를 놓습니다
주부는제기를 갖추어 손질하고 제찬을 정결하게 마련합니다.

밤새도록 촛불을 밝혀 두고 다음날(제삿날) 날이 밝으면 아침 일찍 일어나
제주 이하 모든 참사자는 제복을 입고 사당으로 나아가 분향한 뒤 신주를
정침으로 내 모십니다.
제사를 지내는 순서는 참신, 강신이 끝나면 초헌, 아헌, 종헌에 이어 유식, 합문,
계문을 한 뒤 수주를 합니다.
사신 하고 나서 납주(納主)하면 상을 물리고 음식을 나누어 먹습니다.
『사례편람』에는 시제야말로 제사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라 되어 있지만
요즘에는 시제를 거의 지내지 않습니다.
동양에서는 돌아가신 날에 제사를 거행하고 서양에서는 태어난 날에
제사를 거행합니다
제사라는 용어와 구분하기 위해서 태어난 날에 추모하는 것은 통상
추도식(追悼式) 또는 탄신제(誕辰祭)라고 호칭합니다

제사와 탄신제의 목적은 동일합니다
선조 또는 영웅의 업적을 찬양하고 후손에게 계승하기 위함입니다
본래 한국에서는 탄신제가 거의 없었는데 서양의 영향을 받아서
탄신제와 추도식을 많이 시행합니다
고려시기에는 팔관회(八關會)를 거행하여 호국영령들을 추모하고 동시에
백성을 단합하는 행사로 활용했습니다

현대의 한국에서는 삼일절과 광복절 그리고 현충일이 있습니다
이러한 국가적 행사는 세계적으로 동일합니다
현충일에서는 제주가 통상 대통령 또는 국무총리가 됩니다
그리고 휴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제사와 국가기념일의 목적은 동일합니다
선조와 호국영령의 업적을 찬양하고 후손에게 계승하기 위함입니다
세계적으로 동일하게 국가기념일이 존재합니다
다만 시행하는 방식이 국가별로 차이가 납니다

유럽에서는 1차 세계대전과 2차 세계대전을 경험했고 미국은 전쟁을
통해서 국가가 형성되었으므로 제사 또는 기념일에 주로 총과 화포를
많이 사용합니다
한국에서는 술과 음식이 많이 사용됩니다

개인정보호정책     개인정보 무단수집 거부
주소 : 부산시 해운대구 우동 956-36 (2층) 메일 : free707@hanmail.net
회사소개 Copyright 2019 극락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