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 지방을 대량구매 또는
판매를 하실 분들은 미리
전화를 주십시요
010-4099-9698
  업 / 무 / 시 / 간
평   일 오전 10시 ~ 오후 7시
토요일 오전 10시 ~ 오후 2시
휴대폰 010-4099-9698
메   일 free707@hanmail.net
* 전화는 업무시간에 주십시요 ^-^
  계 / 좌 / 번 / 호
예 금 주 김승종
은      행 우체국
계좌번호 601237-02-099561
* 입금전에 미리 전화주십시요 ^-^
아버님(父)은 사후에 고(考)라고 존칭하고 어머님(母)은 사후에 비(妣)라고 존칭합니다
직업의 경우 생전에 최고직책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고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직책을 승급시킵니다
통상 학생(學生) 또는 처사(處士)이라는 직책을 사용하지만 승급을 시켜서
학자(學者) 또는 博士(박사)라고 존칭하여도 좋을 것 같습니다
크기는 가로 6cm , 세로 22cm 정도로 합니다
조부(祖父)는 사후에 조고(祖考)라고 존칭합니다

조부(祖父) 지방 예시
총칭 : 學生(학생) , 處士(처사) , 學者(학자)
교육 : 博士(박사) , 敎授(교수) , 敎師(교사)
사업 : 會長(회장) , 代表(대표) , 社長(사장)
정치 : 委員長(위원장) , 議員(의원) , 總長(총장)
예술 : 作家(작가) , 詩人(시인) , 歌手(가수)
군인 : 將校(장교) , 將軍(장군)
경찰 : 廳長(청장) , 署長(서장) , 局長(국장)
사법 : 大法官(대법관) , 判事(판사)
행정 : 長官(장관) , 次官(차관) , 局長(국장)
언론 : 記者(기자) , 局長(국장)
의료 : 院長(원장) , 醫師(의사)
전문 : 辯護士(변호사) , 稅務士(세무사)
기술 : 技師(기사) , 奇術師(기술사)
기타 : 院長(원장) , 所長(소장) , 館長(관장)
顯 (현) : 혼령이 지금 제사자리에 계심을 뜻합니다
祖 (조) : 할아버님를 높여서 부르는 존칭입니다
祖考 (조고) : 고인이 된 할아버님을 높여서 부르는 존칭입니다
府君 (부군) : 자신의 조상을 임금과 같이 높여부르는 존칭입니다
神位 (신위) : 신성한 장소로 설치된 곳을 뜻합니다


조선시대에는 농경사회라서 관직명이 없는 고인을 학생(學生) 또는 처사(處士)라고
호칭하였습니다
고인에 대해서는 통상 직급을 높여서 호칭합니다
이성계도 자신의 부모를 왕으로 높여서 제사를 지냈습니다
그러므로 學者(학자) 또는 博士(박사)로 높여서 고인에 대한 존칭을 사용해도 됩니다
자금의 사회는 직업이 2만개 이상입니다 관직 또한 종류가 엄청나게 많이 있습니다
또한 한 사람이 여러개의 직업을 가지는 경우가 많이 있으니 고인이 최고 작업을
관직명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作家(작가)의 경우도 文學博士(문학박사)인 경우가 많이 있으니 고인을 높여서
博士(박사)라고 호칭해도 됩니다

개인정보호정책     개인정보 무단수집 거부
주소 : 부산시 해운대구 우동 956-36 (2층) 메일 : free707@hanmail.net
회사소개 Copyright 2019 극락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