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 지방을 대량구매 또는
판매를 하실 분들은 미리
전화를 주십시요
010-4099-9698
  업 / 무 / 시 / 간
평   일 오전 10시 ~ 오후 7시
토요일 오전 10시 ~ 오후 2시
휴대폰 010-4099-9698
메   일 free707@hanmail.net
* 전화는 업무시간에 주십시요 ^-^
  계 / 좌 / 번 / 호
예 금 주 김승종
은      행 우체국
계좌번호 601237-02-099561
* 입금전에 미리 전화주십시요 ^-^
아버님(父)은 사후에 고(考)라고 존칭하고 어머님(母)은 사후에 비(妣)라고 존칭합니다
직업의 경우 생전에 최고직책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고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하여 직책을 승급시킵니다
통상 학생(學生) 또는 처사(處士)이라는 직책을 사용하지만 승급을 시켜서
학자(學者) 또는 博士(박사)라고 존칭하여도 좋을 것 같습니다
크기는 가로 6cm , 세로 22cm 정도로 합니다
동생과 제수의 자식이 없거나 특별한 사유로 두분의 제사를 대신하여 지내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동생(弟)과 제수(弟嫂) 합설 지방 예시
총칭 : 學生(학생) , 處士(처사) , 學者(학자)
교육 : 博士(박사) , 敎授(교수) , 敎師(교사)
사업 : 會長(회장) , 代表(대표) , 社長(사장)
정치 : 委員長(위원장) , 議員(의원) , 總長(총장)
예술 : 作家(작가) , 詩人(시인) , 歌手(가수)
군인 : 將校(장교) , 將軍(장군)
경찰 : 廳長(청장) , 署長(서장) , 局長(국장)
사법 : 大法官(대법관) , 判事(판사)
행정 : 長官(장관) , 次官(차관) , 局長(국장)
언론 : 記者(기자) , 局長(국장)
의료 : 院長(원장) , 醫師(의사)
전문 : 辯護士(변호사) , 稅務士(세무사)
기술 : 技師(기사) , 奇術師(기술사)
기타 : 院長(원장) , 所長(소장) , 館長(관장)
亡 (망) : 동생의 경우 망자를 사용합니다
弟 (제) : 동생 제자를 사용합니다
府君 (부군) : 형님을 임금과 같이 높여부르는 존칭입니다
神位 (신위) : 신성한 장소로 설치된 곳을 뜻합니다
-------------------------------------------
弟嫂 (제수) : 동생의 아내를 지칭합니다
孺人 (유인) : 문무관(文武官)의 아내인 외명부(外命婦)의 품계(品階)를 뜻합니다
            통상 여인의 경우 벼슬이 없는 경우가 많아서 고인이 된 어머니를 높여서 부르는
            존칭으로 사용합니다
本貫 (본관) : 시조가 태어난 장소를 지칭하는 단어
神位 (신위) : 신성한 장소로 설치된 곳을 뜻합니다


조선시대에는 농경사회라서 관직명이 없는 고인을 학생(學生) 또는 처사(處士)라고
호칭하였습니다
고인에 대해서는 통상 직급을 높여서 호칭합니다
이성계도 자신의 부모를 왕으로 높여서 제사를 지냈습니다
그러므로 學者(학자) 또는 博士(박사)로 높여서 고인에 대한 존칭을 사용해도 됩니다
자금의 사회는 직업이 2만개 이상입니다 관직 또한 종류가 엄청나게 많이 있습니다
또한 한 사람이 여러개의 직업을 가지는 경우가 많이 있으니 고인이 최고 작업을
관직명으로 사용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作家(작가)의 경우도 文學博士(문학박사)인 경우가 많이 있으니 고인을 높여서
博士(박사)라고 호칭해도 됩니다

조선시대에는 엄격한 부계사회라서 여성이 관직을 대부분 가질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관직이 없는 여성에 대하여 孺人 (유인)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존칭을
표현했습니다
하지만 현대사회는 대부분의 여성도 관직과 직업을 가지므로 孺人(유인)이라는
단어 대신에 관직명을 직접 사용해도 됩니다
본관 다음에 성씨를 사용합니다

개인정보호정책     개인정보 무단수집 거부
주소 : 부산시 해운대구 우동 956-36 (2층) 메일 : free707@hanmail.net
회사소개 Copyright 2019 극락정원